상생페이백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받았지만 “어디서 써야 하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막상 상품권을 손에 쥐고 나면 전통시장, 온라인, 배달앱 등 다양한 활용 방법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됩니다.

상생페이백 기본 정보
상생페이백은 9월부터 11월까지,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어난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항목 | 내용 |
---|---|
대상 | 만 19세 이상 국민 |
환급액 | 1인당 최대 월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 |
지급 방식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첫 달 집행 규모 | 총 2414억 원, 약 415만 명 환급 |
※ 첫 달 집행률만 해도 전체 예산 1조 3200억 원의 약 18%가 집행돼, 초기부터 상당한 규모가 소진되었습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설치, 필수!
상품권 사용을 위해서는 디지털 온누리 앱 설치가 필수입니다. 앱 가입자 수는 한 달 만에 950만 명 증가하며 누적 1230만 명을 돌파했으며, 월간 활성 사용자도 300만 명 이상 증가했습니다.
앱의 주요 기능
- 가맹점 찾기: 주변 전통시장과 점포 확인
- 특가 행사 안내: 시장별 제철 먹거리, 특산품 구매 가능
- 온라인 결제 연동: 롯데온, 온누리스토어 이용 가능
전통시장 활용법
온누리상품권은 원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동네 시장 점포, 인근 음식점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바쁜 현대인에게 오프라인 방문은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온라인 활용이 큰 도움이 됩니다.

온라인 구매로도 OK!
롯데온 내 ‘온누리스토어’에서는 전국 전통시장 우수 상품을 모아 판매합니다. 쌀, 생필품, 과일, 지역 특산품까지 다양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박람회 특별전에서는 추가 할인 쿠폰도 제공합니다.
- 상품권 + 쿠폰 사용 → 일반 쇼핑몰 대비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
- 앱 설치와 찜하기 인증으로 경품 이벤트 참여 가능
- 전통시장 상인도 온라인 입점으로 상품군 확대 중
배달앱에서도 사용 가능
공공배달앱 ‘땡겨요’를 통해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합니다. 서울과 충청권 중심으로 가맹 음식점이 있으며, 일부 매장은 배달비 무료, 5000원 중복 할인 쿠폰까지 제공하고 있어 편리합니다.
누리꾼 후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동네 시장 갈 시간 없어서 온누리스토어 이용했다”, “상품권과 쿠폰 결합으로 실질 혜택 체감” 등의 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특히 젊은 세대와 온라인 쇼핑에 익숙한 소비자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정리
상생페이백으로 받은 상품권은 이제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과 배달앱까지 활용 범위가 넓습니다. 디지털 온누리 앱 설치 후 가맹점 검색, 온라인 쇼핑, 배달 주문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생필품·특산품 저렴하게 구입하고,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