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이유로 루벤 갈레고 상원 의원은 고객 서비스 상담원과 통화할 때 실제로 미국에 있는 사람과 이야기할 수 있도록 법적 조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와 함께 인공지능이 미국 근로자에게 미치는 위협을 인식하고 있으며, 콜센터에서 일하는 약 300만 명의 미국인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수요일에 루벤 갈레고 의원과 웨스트버지니아의 짐 저스티스 상원 의원이 공동으로 발표한 새로운 초당적 법안인 “콜센터를 미국에 남겨두는 법안”은 이러한 일자리들이 미국에 남도록 보장하고자, 해외로 이전하는 기업에 대해 연방 혜택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법안의 주요 내용
법안에 따르면, 콜센터를 해외로 이전하기로 결정한 기업은 최소 120일 전에 노동부에 통지해야 합니다. 또한, 노동부는 해외로 이전된 콜센터 작업에 대한 고용주 목록을 유지 관리해야 합니다. 해당 기업들은 다시 미국으로 콜센터 일자리를 되돌릴 노력을 하지 않는 한, 5년간 이 목록에 남게 됩니다.
목록에 오른 기업들은 새로운 연방 보조금과 보장 대출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반면, 비목록 기업들은 연방 계약에서 우선권을 부여받게 됩니다. 더불어, 노동부는 AI로 인한 콜센터 일자리 손실을 추적해야 합니다.
소비자 보호 조치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법안은 콜센터 근무자들이 전화를 받았을 때 즉시 자신의 물리적 위치를 공개하고 AI 사용 여부를 밝혀야 합니다. 고객은 원할 경우 미국에 본사를 둔 콜센터로 전환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갈레고 의원은 “사람과 AI 모두와 이야기할 수 있는 옵션이 필요하다. 자동화 시스템을 피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이미 존재한다”며, 이 법안이 소비자가 원하는 체크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콜센터 일을 미국에 유지하는 것은 또한 미국 소비자의 데이터 보안에도 도움을 줍니다. 갈레고 의원은 “미국에 본사를 둔 인간과 이야기하지 않으면 소비자에게는 보안 면에서 우려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AI의 직업 대체에 대한 전망
AI가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을 대체할 것이라는 점을 갈레고 의원은 인정했습니다.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AI가 일부 실업을 초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고객 서비스 작업의 일부를 AI가 수행하는 것에 대해 전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람이 AI와 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커뮤니케이션노동자협회(CWA)는 이 법안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CWA의 정부 장애물 담당 이사인 댄 마우어는 “이 법안은 미국 콜센터 일자리를 보호하고 AI와 해외 이전이 초래하는 위협을 해결하는 필수적 법안”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기업들이 고객 서비스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고, AI를 통해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